이승헌 행복한 우리말

이승헌 우리말 - 얼굴은 왜 얼굴일까요?....얼이 드나드는 굴~

희망나라 2013. 12. 29. 12:02

[ 이승헌 우리말 ]



얼굴은 왜 얼굴일까요?....얼이 드나드는 굴~



얼굴을 왜 얼굴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요?

얼굴은 '얼'과 '굴'로 이우어진 순우리말입니다. 얼은 흔히 정신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데, 정신의 골격 또는 정신의 핵에 해당하는 것이 얼입니다. 굴은 구멍 또는 골짜기를 뜻합니다. 굴은 골과 쓰임새가 거의 같아서 옛말에서 '얼굴'은 '얼골'로 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얼굴이란 얼이 깃든 골 또는 얼이 드나드는 굴이라는 뜻이 됩니다.






눈, 코, 입, 귀 등이 자리한 부분을 '얼굴'이라는 말로 아우른 옛분들의 지혜가 참으로 경탄스럽습니다. 한자 '안면顔面'이나 영어 '페이스face'에 비하면 우리말 '얼굴'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통찰까지 담고 있습니다.


얼이란 말은 그 본래의 뜻을 바탕으로 여러 어휘로 파생되어 두루 쓰입니다. 흔히 쓰는 말들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얼간이'는 말 그대로 얼이 간 사람이라는뜻입니다. 얼은 나가기도하고 들어오기도 합니다. 들락날락하는 얼의 속성 때문에 누구든 얼간이가 됐다가도 다시 얼찬이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얼간이가 되는 것은 한순간입니다. 감정에 빠지고 욕망에 휘둘이는순간 얼은 휘릭 빠져나갑니다. 감정과 욕망을 자극하는 잘못된 정보가 얼을 밀어내는 것입니다. 얼은 정신의 핵이기때문에 얼이 사라지면 곧바로 감정과 욕망의 노예로 떨어지고 맙니다. 스스로 노예에서 벗어나는 길은 다시 얼을 찾는 것입니다. 


'어리석다'는 것은 얼이 익지 않아 어설픈 상태 또는 얼이 썩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상한 음식처럼 얼이 변질된 것입니다. 얼이 생동하는 사람은 삶의 목적이 분명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도 세상에 도움이 되는 사람으로 사는 것입니다. 이는 얼의 작용이기 때문에 얼이 살아있는 사람이라면 삶의 목적이 한한결같은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은 '지금 여기'가 아닌 죽은 다음의 일에 관심을 쏟습니다. 주겅서 좋은 데 가기를 소원한다면서, 살아서는 스스로의 삶의 주인이기를 포기해버립니다. 어리석은 사람에게돈이 생기고 권력이 주어지면 더욱 불행한 사태가 벌어집니다. 돈 때문에 패가망신하거나 권력을 등에 업고 사리사욕을 채우려 드는 사람들을 날마다 뉴스에서 접하지 않은지요. 

어리석은 사람에게 돈과 권력은 재앙이나 다름없습니다.





돈이 얼마만큼 있는 것이 가장 행복한지 미국 하버드대의 한 연구팀이 조사해봤다고 합니다. 결과는 궁핍하지 않게 생활하면서 아껴 쓰면 가족 여행도 일 년에 한두 번 다녀올 수 있을 정도의수입이 행복을 누리는 데 가장 적정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이 이보다 많아지면 그에 다라 올라가는 것은 행복도가 아니라 이혼율이었습니다. 돈과 권력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무작정 성공하려고 애쓰는 것이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불행한 일인지를 어리석은 상태에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고통을 치른 후에야 이를 깨닫는다면 그때가 바로 상처에 새살이 돋듯 얼이 되살아나는 순간입니다.


'어리둥절하다'와 '얼떨떨하다'는 얼이 흔들려 정신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말입니다. '얼렁뚱땅'은 어감이 참 재미있습니다. 이는 얼김(정신이 얼떨떨한 상태)에 상황을 대충 넘기는 것을 뜻합니다. '어리버리하다'는 말은 정신이 산만하여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상태 '얼치기'나 '얼뜨기'는 얼이 좀 나가서 부족한 상태를 일컫습니다. 매운 음식을 먹을 때나 술을 마실 때 흔히 '얼큰하다'고 하는데, 이는 매운 맛이나 취기 탓에 정신이 얼얼한 상태를 뜻합니다. 마치 얼이 크게 생동하는 느낌이어서 이렇게 표현했을 수도 있습니다.


'얼싸안다는 말은 듣기만 해도 두 눈이 스륵 감기면서 가슴이 따뜻해지는 느낌이있습니다. 얼싸안는 것은 두 팔을 벌려 서로 껴안는모양새를 일컫습니다. 그런데 이는 그냥 몸퉁이만 안

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까지 진심으로 감싸 아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얼싸안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얼싸안으면 눈시울이 뜨거워지곤 합니다. 얼싸안긴 사람은 자신이 온전히 받아들여진다는 안도감에 얼싸안은 사람은 상대방을 존중함으로써 따뜻하게 차오르는 기쁨에 그런 것일 겁니다.



이처럼 우리말에는 '얼'에서 비롯한 표현들이 무척 많습니다. 어처구니가 없을 때 요즘 흔히 쓰는 '헐'이라는 말도 얼과 관련된 어휘로 새롭게 올려야 할지 모릅니다. '헐'이라는 글자를 풀면 '虛(빌 허) + 얼'이라 할 수 있으니, 이는 흥미롭게도 얼이 나간 상태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물론 재미삼아 풀어본 것이지만 말입니다.








<이승헌 총장의 행복한 우리말> 이승헌 총장의 행복한 우리말 이야기

이승헌 총장의 '행복의 비밀이 숨어있는 우리말' -얼굴을 중시하는 우리 문화

[이승헌 단학]이승헌 총장의 뇌교육의 홍익실천 방법